데이터를 주고받는 단위

bit. byte(=8bit)

LAN(local area network)

비교적 좁은 지역을 연결한다. 크기가 정확히 수치화 된것은 아니다. 요즘은 보통 건물의 단위가 LAN의 단위가 될수 있다. 개인이 직접 스위치나 라우터를 조작하여 관리 가능하다.

WAN(wide area network)

국가 이상의 넓은 지역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구조이다.(ex:인터넷) 개인이 조작할 수 없으며 회사에서 관리를 하여준다. 그러한 회사들을 통틀어 ISP(internet servide provider) 이라 하며 한국에서는 대표적으로 kt, sk, lg 가 있다.

프로토콜

통신규약. 각 나라의 ISP끼리 통신을 손쉽게 하기 위하여 만들었다.

RFC

프로토콜에 대하여 작성된 문서

TCP/IP 4계층과 OSI 7계층

1.TCP/IP 4계층

미국방부에서 만든 것으로 어떤 상황에서도 잘 동작하는 네트워크의 필요성을 통해 만들었으며 현대 대중적으로 쓰이고 있다.

2.OSI 7계층

국제 표준화기구(ISO)에서 만든 표준 프로토콜

7계층(=응용계층=application)

사용자와 컴퓨터간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명령을 주고받음. (ex : http,telnet)

6계층(=표현계층=presentation)

보내고자 하는 데이터에 확장자를 붙여 데이터형식을 표기함. 암호화, 압축화를 진행한다.(ex : jpeg)

5계층(=세션계층=session)

양 끝단의 응용 프로세스의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통신의 시작, 종료, 설정, 관리를 진행한다. 동시 송수신, 반이중, 전이중 방식등의 과정을 수행한다. 포트번호를 기반으로 연결한다. (ex : nfs, asp, )

4계층(=전송계층=transport)

데이터 전송방식을 결정. 포트번호를 구분한다.

프로토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는 udp와 tcp가 있다. tcp는 데이터를 보내고 응답메세지(ack)를 받지만 udp는 확인 메세지를 받지 않는다. tcp는 신뢰성이 높지만 속도가 느리고 udp는 신뢰성은 없지만 속도가 빠르다.

전송단위: segment형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tcp segment의 형식은 다음과 같다.

sourceport : 송신자 포트번호

dentination port : 수신자 포트번호

sequence number : 정렬된 데이터의 넘버. 이를통해 데이터가 분실될경우 선택적으로 재송신

acknowledgment number : tcp가 다음 수신을 예측하는 일련번호

header length : 헤더의 길이

reversed : 0으로 초기화

code : 제어 기능

window : 수신측이 받을 수 있는 데이터의 양

checksum : 체크섬. 오류 체크

urgent pointer : 긴급 데이터의 끝

option : 옵션

data : 상위 계층으로부터 받은 데이터

udp segment의 경우 sourceport , destination port, length, checksum, data로 구성되어 있다

장비 : L4SWITCH 를 이용한다.

3계층(=네트워크계층=NETWORK)

ROUTING(데이터 최적 전송경로 결정)을 한다. 프로토콜로 IP, ICMP, ARP , RARP등을 쓴다.

프로토콜 IP(논리적주소): 하나의 네트워크에서 장비를 구분하는 주소

ARP : 상대방의 IP주소는 알고 있으나 MAC주소를 모를때 IP주소를 이용하여 이를 알아오는 프로토콜

RARP : 상대방의 MAC주소는 알고 있으나 IP주소를 모를때

ICMP : 논리적 연결확인 (PING) 을 하는 프로토콜. 만약 PING TEST가 실패한다면 1~3계층에서 문제가 있음

전송단위: segment에 ip헤더를 붙여 packet이라는 데이터 전송단위를 형성한다.

version : 현재 사용되는 ip의 버전을 의미한다.

header length : ip의 길이를 의미한다.

sevice type : 서비스 타입을 통해 패킷의 중요도를 알 수 있다.

total length : 패킷의 길이를 의미한다.

flags : 첫번째 비트는 단순화여부를 나타내고, 2~3비트는 마지막 인지 나타낸다.

time to live : 생존 시간으로 0이되면 폐기하여 loop를 방지한다.

protocol : 상위계층 프로토콜을 나타낸다.

source ip address : 송신자 ip주소를 의미한다.

destionation address : 수신자 ip 주소를 의미한다.

data : 이전 데이터

장비: L3SWITCH, 라우터

point to point(접대점) 계층으로 중계장치를 통하지 않고 다른 장치와 직접적으로 접한다.

신뢰성있는 전송을 보장하고 물리주소인 MAC주소를 이용하여 통신을 한다. MAC주소는 6바이트로 구성이되며 IP와 달리 16진수로 표현이 된다. 3계층에서 온 데이터의 캡슐화를 진행한다. 링크의 활성화와 유지, 종료를 담당한다. 데이터의 오류제어와 흐름제어를 담당한다. 데이터를 LAN으로 보낼지, WAN으로 보낼지에 따라 포장을 달리한다.

프로토콜 : HDLC, LLC

전송단위

preamble : 마지막 바이트가 1로써 자료 전송을 예고한다. 헤더에 포함되지 않는다.

destination address : 목적지 mac주소

source address : 송신자 mac주소

type : 뒤에 데이터 예고

data : 상위 계층으로부터 받은 데이터

fcs: footer. 오류를검출함

장비 : switch

1계층(=physical layer=물리계층)

인터넷 연결에 필요한 물리적인 연결 매체를 통하여 프레임을 전기신호로 전환하여 전달.

장비 :

tp : twisted pair cable. 8개의 구리가닥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utp : unshield twisted pair : 방어막이 없어 정확성이 낮다.

stp : shield twisted pair : 방어막이 있어 정확성이 높다.(실제로 정보를 송수신할때는 8개의 구리가닥중 1,2,3,6번째 가닥만사용)

RJ45 : 커넥터로서 연결방식은 T568A와 T5688방식이 있다.

라우터,PC,SERVER : 1,2번으로 데이터 송신. 3,6번으로 데이터 수신

SWITCH, HUB : 1,2번으로 데이터 수신, 3,6번으로 데이터 수신

송수신이 동일한 기기를 RJ45로 연결할때에는 크로스 오버 방식으로 연결. 방식이 다른기기는 양끝을 동일하게 연결

COAXIAL : 동축케이블.

FIBER opik : 광케이블.

정보 전송 단위 ; bps, 단위시간당 정보 전송은 전송속도보다는 송수신의 폭에 비례하여 결정이된다.

장비 : hub.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atic routing  (0) 2017.12.26
서브네팅_메모리_기본설정_네트워크설정_telnet  (0) 2017.12.26

+ Recent posts